幢竿支柱와 掛佛臺(13)
-
당간지주(幢竿支柱)와 괘불대(掛佛臺)의 의미와 특징
출처 : http://cafe.daum.net/oholly 1981년-具善會, 韓國上代 伽藍建築의 幢竿支柱 및 掛佛臺에 관한 硏究 /영남대 대학원 (석사학위) 1. 당간지주 1)기원 당간지주는 불교 국가중 한국에서 독특한 형태로 나타나는것으로, 불교 도입 이전의 소도,장승 (蘇塗,長丞)사상에서 유래되어 사찰 건립과 동시에 입구 측에 건립되어 온것이다. (불교의 토착화 과정에 따른 영향) 높이 약 3m가량의 두 당간지주 사이에 높이 약 15m 가량의 당간을 꽂아서 멀리서 볼때 사찰의 위치를 알려주고,경계,상징,벽사(境界,象徵,辟邪)등의 의미로 조성하였으며,당간 꼭대기에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사찰의 깃발을 꽂기도 했다.( 백척간두 [百尺竿頭]의 어원) 고려말 이후 차차 산지로 가람이 이전되고, 당간의 조성 ..
2021.02.26 -
필자의 논문 파일 : 부록
부록.pdf
2019.03.21 -
필자의 논문 파일: 본문
본문.pdf
2019.03.21 -
만덕사지 당간지주 하부구조 정밀조사-국제신문
만덕사지 당간지주 하부구조 정밀조사 유실된 만덕사지 당간지주의 하부 구조물로 추정되는 유물이 발견됐다. 앞으로 정밀 발굴조사를 통해 하부구조의 전체 원형이 드러나면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당간지주의 설치 공법 파악 등 의미 있는 성과가 기대된다. 부산 북구는 9일 만덕사지 당간지주(부산시 유형문화제 제14호) 하부 구조물에 대한 심층발굴조사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만덕사지 당간지주는 북구 만덕1동 만덕사 절터에 있는 기둥 형태의 구조물로, 고려 전기 사찰 내 당간(불화를 매다는 깃대)을 지탱하기 위해 설치됐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범어사 대웅전의 4배가량으로 알려진 만덕사 불당의 규모를 추정케 하는 경계석으로, 원래 있던 2개의 석주 중 1개는 유실되고 현재 1개만 남아있다. 구는 지난 1월 만덕사지 당간..
2014.12.30 -
대구 부인사 당간지주 유적 2012.10.28
-
당간지주 건립이 차차 사라진 가장 중요한 이유
원래 초기 평지 가람에서 당간지주를 세워 높은 당간을 꽂아 깃발을 달던 이유는 그 첫째가 온통 단층 건물 뿐이던 시절에, 가람의 위치를 알려주고, 불보살의 위세를 대중에게 알리기 위함이었다. 즉. 현실적으로 저층 위주의 건물뿐이던 당시 도읍지에서 15m 이상이나 되는 높은 당간을 ..
2011.03.10 -
伽藍 空間 解釋의 一例(영주 부석사浮石寺)
K지점 이하에서는 꺾여진 접근로와 덮혀진 수림 및, 세속적인 공간 (C-Space)에서의 영향-세속적인 공간에서의 장기간의 머무름으로 유발되는 인간의 신성한 공간에 대한 인식 감소-으로 당간의 일부분, 즉, Z의 상부를 보게 되어 신성한 공간이라는 존재를 인식하게 되며, 신성한 공간 (A-Spa..
2011.03.10 -
불국사의 당간지주는 괘불대이다.
첫째,가람 공간상으로 볼때 괘불대는 거의가 마당이 넓어서 괘불을 현조하기 좋은 금당 앞 마당에 주로 있지만 ,불국사의 경우엔 금당 앞의 공간에 두개의 큰 석탑이 있어서 괘불을 현조해서 대중들을 참석시키기에는 다소 비좁은 면도 있고, 현재 두쌍의 석주가 위치한, 중문과 안양문 앞의 공간은 금당 앞 공간보다 훨씬 더 넓고, 평평해서 괘불을 현조한후 소위, 야단법석[野檀法席]을 하기에는 적절한 장소로 보인다. 둘째, 자체의 구조적, 의장적인 면으로 볼때는 필자가 조사해본 자료에 따르면,괘불대의 평균 높이가 약 1.3 미터, 당간지주는 약 3.2 미터이고,당간지주는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형태의 깃발을 세우기위한것으로 주로 1쌍의 지주가 세워졌고, 반면, 괘불대는 두쌍의 지주가 평균 4.7미터의 거리를 두고 세워..
2011.03.10 -
論文의 結論 (要約)
1. 당간지주에 대한 결론 1) 구조적인 면 가). 당간지주의 형식을 측면,단면,지주 내면 간공의 형상으로 3분해 볼때, 그 종류들을 각각 6종류, 5종류, 4종류로 분류하였다. 측면 형상으로 볼때 측면 상부의 두부 곡선과 지주 높이와의 비례 수치가 평균 0.08~0.084로 유사하다. 즉..시대는 변했어..
2011.03.10 -
論文의 結論 (原本)
韓國上代 伽藍建築의 幢竿支柱 및 掛佛臺에 관한 硏究 , 영남대 대학원 (석사학위) ,1981년2월 具善會 Ⅰ , 幢竿支柱에 대한것은 1. 構造的인 面 (1). 幢竿支柱의 形式을 筆者가 調査한 總 37基 中에서 側面, 斷面, 支柱 內面 竿孔의 形式으로 3分 해 볼때, 側面 形狀의 種類는 總 6種(派生된것..
2011.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