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5. 14. 09:34ㆍSaxophone/마우스피스
버그라센에 대해 기능적 활용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피스의
생크 부분에 각인된 숫자중 위의 2~3자리 숫자는 오프닝 숫자이다.
... 90, 95, 100, 105, 110,... 이런 순서
(오토링크와 비교하면 버그라센=오토링크 90=6 / 95=6* / 100=7 / 105=7* / 110=8와 같다)
그 밑의 한자리 숫자는 0, 1, 2, 3 네종류가 씌여있다.
이 숫자는 배플의 깊이를 의미한다.
0은 가장 높은 것... 3은 가장 깊은 것이다.
0는 밝은 소리, 1은 둥근소리,
2는 가라앉는 소리, 3은 어두운 소리...
이렇게 구분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음색의 차이는 미세하므로 리드 종류에
따라서 틀려진다.
0는 주로 경쾌한 락 계열의 곡에 쓰고 2~3은 느린 곡들...
우리 가요곡에서는 주로 2를 많이
선호한다.
그 옆의 알파벳 M과 SMS는 리드를 얹는 테이블의 길이이다.
M은 미디엄이고 SMS는 숏.
숏은 콘트롤이 좀 쉽고... 반면에 미디엄은 표현력이 더 좋다.
이처럼 버그라센은 오프닝과 배플 깊이와 테이블 길이에 따라
여러
종류의 피스로 구분이 된다.
뿐만 아니라 배플 형태의 차이가 결정적으로 톤을 구분해 준다.
흔히 말하는
총알형(불렛형이라고도함)은 배플이 알파벳 V자 모양으로
홈이 패여있다.
불렛형은 몸통의 굵기에 따라 덕빌과 스트레이트빌로
구분된다.
덕빌은 몸통(외경)이 굵고 바이트 부분이 넓다.
반면에 스트레이트빌은 덕빌에 비해 몸통이 가늘어서 날씬 해 보인다.
사진상으로는 구분이 잘 안될 수도 있다.
리드를 얹을때 리드보다 테이블이 넓으면 덕빌...
테이블보다 리드 폭이 넓으면
스트레이트빌이다.
스트레이트빌은 소리가 밝고 쭉쭉 뻗으면서 좀 쏜다.
덕빌은 볼륨이 훨씬 더 크고 소리가 우람하며.
저음도 좋고 중고음도 힘이 있다.
그래서 덕빌을 선호하는데... 구하기가 쉽지 않다.
덕빌과 스트레이트빌은 바이트
부분에서 몸통까지 경사가 완만한 모습이다.
스쿱빌은 바이트부분과 몸통이 각으로 꺽여진 피스는 스쿱빌이다.
배플도 피스의
세로방향(V자)이 아닌 가로 직선 방향으로 패여 있다.
점보자바의 배플처럼 가로 일자형태로 깍여있다.
불렛형보다 소리가 더
무겁고 차분한 편이다.
이 정도 상식이라면 자신한테 맞는 버그라센을 고르는데 별로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가장
중요한 한 가지는 신형보다 구형을 추천된다.
신형은 콘트롤이 까다로운 편. 즉 별로다.
구형과 신형의
구분 방법은...
구형은 배플의 홈을 깍아서 성형을 하였고(육안으로 구분된다)
신형은 주물 성형을 해서 배플 홈의 표면이
깨끗하고 균일하다.
'Saxophone > 마우스피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우스피스 오프닝 비교도표 (0) | 2013.05.28 |
---|---|
오토링크 따옴표 (색나라 펌) (0) | 2013.05.20 |
[스크랩] 프로리다 오토링크와, 뉴욕메이어 그리고 데이브과델라. (0) | 2013.03.20 |
[스크랩] 프로리다 오토링크 미 완성품들. (0) | 2013.03.20 |
데이브 과데라 마우스피스 (0) | 2013.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