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5. 13. 18:23ㆍSaxophone/해외 악기 구입
이전에 한번 수리경력이 없다는 거짓 정보를 모른채 ,수리 경력이 없는 가격으로 잘못 구입했다가 낭패를 본 후, 개인 간 거래에 대단한 불신을 갖게 되었고, 그 후 해외 사이트를 살펴 보다가, 일본의 한 빈티지 악기상의 한국 직원과 연결이 되어 여러 조언도 들었지만, 내가 찾던 모델이 없어서, 다시 미국에서 제일 큰 곳으로, 유명 뮤지션들이 악기를 조달한다는 빈티지 샾을 알게 되었다.
일본 샾도 그렇지만, 미국의 이 샾도 악기의 이력이나, 락카가 오리지널 인지 아닌지를 분명하고 솔직하게 밝히고 있었고, 악기의 디테일한 사진도 여러 장(미국 샾은 30여장,일본은 몇장 정도)을 첨부해서 선택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었다.
또, 미국 샾의 담당자에게 여러 많은 문의 메일을 보내도, 아주 성실하고 진솔한 답변을 보내 왔다.
혹시 ,,,,, 하는 생각도 한번 해 보았지만, 그 사이트의 설립 취지 글이나, 역사, 구입 후기 등을 보니, 신뢰감이 갔다.
그래서, 민트급이고, 덴트, 남땜 이력은 전혀 없는, 단종된 Selmer 모델 중 하나를 동급 수준의 한국 중고 거래 가격의 약 70% 가격(배송비,세금, 은행 수수료 다 합쳐서)으로 마침 나온게 있길래 구입하게 되었다. 케이스 역시 오리지널.
전체적으로 외국 사이트를 잘 찾아 보면 한국보다 싼 모델도 구할수 있을 것 같다.
또, 개인 간의 거래와 달리, 유명 빈티지 회사들은 나름대로의 신용과 신뢰가 회사 이미지와 직결되다 보니 과거에 악기에 있었던 모든 이력들을 감춘다는건 불가능 할 것이고, 있었던 사실을 그대로 전해 줄 수 밖에는 없을거라 생각된다. 만약, 거짓 정보를 알려 주거나, 숨기는 정보가 있었다면, 인터넷 문화가 발달된 현재 시대에서는 회사가 존립 할 수가 없을 것이다.
이에 비해, 개인 간의 거래는 회사가 아닌 자연인 한 사람 만의 문제에 그칠 뿐이기 때문에, 책임감, 신뢰성, 가격의 합리성..등에 어쩔 수 없는 에러가 생기기 쉽지 않을까,,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두 사람 간의 많은 대화가 필요 할것이고, 구매자는 악기에 대한 많은 식견과, 리페어에 대한 날카로운 안목이 반드시 필요 할 것이다.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 중고를 구입한다는건 지극히 위험 할것이라 생각된다.
** 한-미 FTA에 발효로 악기의 경우 즉시 관세가 완전 철폐되어 현재는 관세 없이 부가가치세 10%만 과세된다
단, 1,000불 이상일때는 미국,프랑스 의 현지산이라는 확인서를 세관에 제출해야 무관세 혜택을 본다.
-무관세 대상 : 200불 이하, 혹은 제작년도가 100년 이상이란 사실을 입증 할수 있는 악기(=골동품으로 인정)
-간이신고 대상 : USD$200 ~ $2,000로 구입자가 직접 사용하는 악기
-일반수입신고대상 : USD$2,000 초과시 (관세사 수수료 =28,000원 ,혹은 구입대금의 0.2% 중 큰 금액, 서류절차 대행시킨다)
무관세 대상,간이관세 대상을 적용 받으려면, 구매자가 직접 사용한다는 사실로 인정받아야 한다.(수입목적=교육, 혹은, 본인 연주용으로 기재할것)
수입 송장
'Saxophone > 해외 악기 구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 물건을 개인이 구입하는 방식 (0) | 2013.06.07 |
---|---|
Saxquest Inc. 에서의 악기 구입 후기 (0) | 2013.05.29 |
Saxquest Inc. (0) | 2013.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