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2. 18. 19:17ㆍSaxophone/악기 품평
[셀머 색소폰 연감]
Selmer (Paris) Sax Legend
The Serial Number listed is the last one of the year.
Year Model Serial Number
1922 Model 22 750-1400
1923 1401-2350
1924 2351-3350
1925 3351-4450
1926 Model 26 4451-5600
1927 5601-7850
1928 7851-9700
1929 9701-11950
1930 "Cigar Cutter"/"Super Sax" 11951-14000
1931 14001-15750
1932 15751-17250
1933 17251-18700
1934 """Radio Improved" 18701-20100
1935 20101-21750
1936 "Balanced Action" 21751-22650
1937 22651-25600
1938 25601-27650
1939 27651-29300
1940 29301-29750
1941 29751-30500
1942 30501-31150
1943 31151-31580
1944 31581-31850
1945 31851-32350
1946 32351-33700
1947 33701-35800
1948 "Super Action" 35801-38500
1949 38501-41500
1950 41501-45100
1951 45101-48300
1952 48301-51800
1953 51801-55200
1954 "Mark VI" 55201-59000
1955 59001-63400
1956 63401-68900
1957 68901-74500
1958 74501-80400
1959 80401-85200
1960 85201-91300
1961 91301-97300
1962 97301-104500
1963 104501-112500
1964 112501-121600
1965 121601-131800
1966 131801-141500
1967 141501-152400
1968 152401-162500
1969 162501-173800
1970 173801-184900
1971 184901-196000
1972 196001-208700
1973 208701-220800
1974 "Mark VII" 220801-233900
1975 233901-246800
1976 246801-261100
1977 261101-276100
1978 276101-289700
1979 289701-303100
1980 303101- 315500
1981 "Super Action 80" 315501-327300
1982 327301-340200
1983 340201-353300
1984 353301-366400
1985 366401-378800
1986 "Super Action 80/Series II" 378801-391000
1987 391001-406000
1988 406001-422500
1989 422501-439600
1990 439601-457500
1991 457501-473600
1992 473601-490000
※셀머 시리얼 번호는 제작시기가 겹쳐지고 있는 물건도 있고,예를 들면 Mark VII 제작연대에 제작된
Mark VI가 있는 것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또,일련 번호는 숫자만이 아니고,마지막으로 알파벳이 뿌리를 박는 물건도 있는다고 합니다.
[셀마 색소폰의 유래]
* 1885년 ,프랑스의 클라리넷주자였던 앙리•셀마는 ,클라리넷의 마우스피스나 리드의 제작을 시작하고,
파리에 상점을 열었다.1898년으로부터 클라리넷을 만들기 시작하고,저명한 아티스트들으로부터 평가를 얻었다.
같은 해,앙리•셀마의 남동생으로 보스톤 교향악단등으로 클라리넷 주자를 하고 있던 알렉산드르•셀마가 ,
형의 악기등을 아메리카에서 판매하기 위해 뉴욕에 상점을 열고,1904년에 셀마U.S.A(Selmer-U.S.A ,
후에 셀마(The Selmer Company) ,현재의 콘•셀마(Corn-Selmer Company))를 설립했다.
1921년 12월 31일에 ,셀마•파리 최초의 모델22를 완성시켰다
Selmer색소폰의 창업자인 Henri selmer와 그의 동생인 Alexander selmer는 원래 프랑스에서도 알아주는
클라리넷 연주자였다. 악기 연주로는 부족한게 있었든지 1900년대초에 Henri는 부업으로 클라리넷 공방(工房)을 열었고, 사업에 차차 자신을 얻어 아예 직접 제작업으로 뛰어 들었다.
한편, Alexander는 자유의 땅, 신천지 미국으로 건너와 Boston symphony, Cincinnati symphony,
NY philharmonic orchestra 등의 쟁쟁한 무대에서 실력을 인정받아 수석 클라리넷 연주자로 맹활약을 하였다.
그런 한편으로는 사업수완을 발휘해서 NY시에 작은 소매점을 열고는 France에서 자사제품을 수입,판매 하기 시작하였다.
열심히 하니까 운도 따랐다. 1904년 미국 St. Louis에서 열린 '국제악기박람회'에서 Selmer의 클라리넷이 대망의 '금메달'을 획득! 세계적인 명품으로 Selmer의 이름을 드높이는 결정적인 계기를 맞게된다.
이후, Alex.는 날로 커지는 Henri의 사업을 돕기위해 1918년에 미국생활을 접고 Paris로 금의 환향하였다. 이때 Selmer는 미국에서의 독점판매권을 Alex가 그의 제자이자 극장 Musician 이었던 George Bundy에게 (헐값에) 넘겼다 (후에 Bundy는 Selmer USA company를 설립하여 France selmer의 부품을 수입, 그 유명한 American selmer 제품을 조립 생산함과 동시에 자체 Brand인 Bundy selmer를 만들게 된다)
1910년~1920년 사이에 Selmer는 주종목인 클라리넷에다가 Oboe와 Bassoon을 추가하여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그간 주문품만을 간간히 생산하던 색소폰의 가치와 향후의 시장성을 정확히 예측하여 1922년에 마침내 최초의 공식Series제품인 'Model 22'를 탄생시켰다. 날로 커가던 색소폰 사업은 1928년에는 Adolphe sax의 색소폰 공장을 인수하여 본격적인 대량 생산체제를 갖추었다
1941년에 Henri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인 Maurice가 가업을 승계하여 새로운 전환기를 맞은 Selmer는 2차대전의 혹심한 불황기를 어렵사리 잘 넘기고는, 근대 색소폰 Mechanism의 표준이라 할 'Balanced Action' Series가 본격적으로 판매(1936년 부터 생산)되면서 세계최고의 확고한 기반을 잡게 된다 그리고, 드디어 1954년에 역사적인 명품 'Mark vi'가 나오자 전세계의 연주자들은 이 악기의 우수성에 경악을 금치 못 하였고 50년 가까이 정상의 권좌에서 군림하게 된다.
Selmer의 악기 군단(軍團)들
악기(색소폰)중에 최고의 고전명품(Vintage)이라는 Mark vi가 도대체 어떤 악기인가? 고전명품은 당연히
소리가 좋고 잘 길들여 지긴 했어도, 음정이 불안 할 수도 있고 운지(運指)가 불편한 단점도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하고, 당연히 악기의 질도 천차만별로서 신제품 보다 실패할 위험부담도 그만큼 크다는것도 정확히 직시(直視)해야 한다. .
그렇지만 확실한 현실은 Modern Jazz의 본고장인 미국과 일본의 전문연주가 상당수(약 80%라함)가 사용하고 있는 악기가 바로 Mark vi 이며, 지금 이시간에도 동호인들 사이에서 가장 활발하게 거래가 이루어 지고 있고, 또 뜨겁게 논쟁의 주제가 되고 있는 유일한 악기도 바로 Mark vi 라는 것이다.
위 그림은 셀마 리퍼런스54로 1954년도부터 생산되었던 세계적으로 유명한 마크-6 를 재현한 고급형 테너 색소폰입니다.
무광으로 마감되어 빈티지한 멋을 살린 외관과 그당시의 악기와같은 음색 또한 빈티지한 매력을 지닌 악기로서,전 세계인에게 인정받는 악기입니다.
마크-6를 음색을 원하나 중고악기이기때문에 꺼려하시는 분들께 추천 드립니다
Selmer Action 2. Mark7. Mark6
1920년대미국에서만들어진 셀마의 아버지 격인 콘츄베리입니다
Selmer Mk.7
마사토 혼다가 메인으로 사용하고 있어서 젊은 층에 많은 매니아를 형성하고 있는 이 악기는 강렬한 음색이란 말 말곤 다른 말론 표현할 어휘가 없을만큼 내지르는 거 하나만큼은 어떤 악기도 따라 올 수 없을 겁니다.
시리얼은 23만 거의 끝에서 부터 시작해서 32만번의 액션 1, 2와 겹칩니다.
세븐은 보통 우리가 알고 있는 아메리카 세븐과 프랑스 세븐이란 두 종류 이외에도 M 시리즈와 N 시리즈로 구분합니다
아메리카 세븐과 프랑스 세븐의 차이는 거의 문양의 차이 정도일뿐이고 실상 큰 차이는 M 시리즈과 N 시리즈에서 나는데 일반적인 마크 세븐의 특징인 강렬한 음성을 포함하는 조건에서 M 시리즈는 약간 더 마일드 하고 온화한 특성이 있고, N 시리즈는 듀코프 피스처럼 강렬하게 쏘는 경향이 강하면서 섬세한 표현이 잘 사는 특징이 있습니다.
같은 세븐 임에도 불구하고 M과 N은 소리의 성향이 틀리기 때문에 어느 쪽이 더 좋다라고 단순비교하기에는 좀 무리가 있습니다.
특기적으로 24만 후반대까지는 식스넥이 제공되었습니다. 24만 후반이후부터 넥에 세븐 문양이 새겨진 악기가 제공되기 시작했고 25만대에 이르러서도 두 가지 넥이 혼용되어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식스와 세븐을 정확히 구분하는 시리얼은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식스처럼 이 악기도 황금번호라고 칭하는 번호대가 있는데 세대간에 있어서 좀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좀 나이가 있으신 분들은 24만대를 황금번호라고 하시는데 아무래도 식스가 단종되고 넘어오는 과정에서 23만대의 식스들과 부품이 공유되는 부분이 많아 식스의 부드러움이 많이 녹아있으면서도 강렬한 표현이 있어 좋다고 하고 젊은 세대에서는 27만에 이르면서 특유의 쏘는 성향이 강해지기 시작하여 이 번호대를 선호하는 경향이 많은 편이며 마사토 혼다는 31만번대 악기를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구조상에 특징적인 면이 있다면 Low C# 을 눌러주는 키가 하나 더 붙어 있는데, 이건 아마도 키부분의 제작이 이전보다 섬세하게 잘 맞지 않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C#이 제대로 닫히지 않고 뜨지 않는 걸 막아주기 위해 의도적으로 다리를 하나 더 놓은 것 같은데 실상은 있으나 없으나 큰 차이가 없습니다
강렬한 음성을 지닌 만큼 그 대신 악기에 강한 진동이 오기 때문인지 몰라도 유자관도 다른 악기에 비해선
좀 약한 편입니다.
나자렛 부분이 새는 경우가 많고 심한 경우는 유자관의 옆면과 유자관 밑에 덧대어 진 밑부분이 터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심한 경우는 벨과 유자관 나자렛 연결부분이 맞지 않아서 이 부분이 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쪽의 불량이 나면 로우키들의 위치가 틀어지기 때문에 저음이 많이 새고 호흡이 많이 들어가게 됩니다. 세븐을 구입하시고자 하신다면 반드시 이 부분에 대한 확인은 필수요소 입니다.
아마도 세븐이 그 명성에 비해 홀대받는 데는 식스에 비해 이런 불량들이 현저히 나타나기 시작했기 때문이 아닐까라고도 생각해봅니다.
내부적으로 나오는 얘기에 의하면 이 시기부터 전통적인 도금방식 대신 산화도금을 도입하기 시작한 시기였는데, 내부부식에 대한 방비가 약해서 그 부분까지 고려되지 않아서인지 락커도 좀 쉽게 잘 벗겨지는 편입니다.
그리고 운지 키가 붙는 부분이 천차만별로 운지가 좋게 나와 있는 세븐 찾기가 좀 힘든 편입니다. 같은 세븐이라도 내 손에 감기는 악기가 있는 가 하면 연주하면 연주할수록 손이 꼬이는 악기도 있으니 이 점은 큰 문제는 아니지만 그래도 확인해 보셔야 할 문제점 중 하나입니다.
잘 어울리는 피스군은 어떤 피스든지 강렬함을 무기로 내세우는 피스라면 어느 것 하나 아쉬운 것 없이 다 잘 살리는 편입니다. 자바나 메이어를 사용해주면 어쿠스틱한 공명이 산뜻하게 퍼지는 맛도 있고 ARB를 써주면 강렬한 파열음이 강한 허스키한 샤우팅을 살려주고 점보자바를 사용해주면 감질나게 쏘아주는 매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안어울리는 피스는 오프닝이 작은 피스나 오프닝이 크더라도 서브톤에 매력을 가지고 있는 피스는 다 안어울립니다. 심한 예로 오토링크 얼리바빗 피스로는 저음부 소리가 안날 정도입니다.
예외적으로 버글라센 메탈을 테너에 사용해주면 의외로 강렬한 허스키 보이스 음성을 보여주기도 합니다만 일단
하드러버 버글라센을 알토에 사용해주시는 건 그다지 좋은 효과가 있을 것 같진 않습니다.
'Saxophone > 악기 품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Buescher 400 (색나라 펌) (0) | 2013.02.20 |
---|---|
롤랜드 사운드캔버스 시리즈 (펌) (0) | 2013.02.20 |
Selmer Mark 6 와 Selmer reference 54 비교 동영상 (0) | 2013.02.16 |
악기 철판 두께 (0) | 2013.02.07 |
색소폰의 재질에 따른 소리의변화 (0) | 2013.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