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11. 22. 09:32ㆍ幢竿支柱와 掛佛臺
1916년-松本 文三郞, 朝鮮の幢竿に就いて, 羽田 亨, 內藤博士還曆祝賀支那學論叢, 東京: 弘文堂
1933년-藤島 亥治郞, 慶州を中心とせる新羅時代幢竿支柱論, 史蹟名勝天然紀念物,제8집제11호
1935년-葛城 末治, 朝鮮の幢及び幢竿に就いて , 朝鮮總督府內務部 , 朝鮮金石攷 , 東京 大阪屋號書店
위의 3편의 문건 내용은 당간지주의 구체적인 용도,의미에 대한 자세한 언급이 부족하고, 단순 몰취미한 민
족이 만들어낸 이상한 조형물이란 표현도 하고있다.
1961년-李夏中, 尙州伏龍里幢竿支柱, 考古美術 제2권 제9호 통권14호
1962년-尹容鎭-法水寺址와 遺物, 古文化1집
1965년-李殷昌, 洪城五官里寺址의 幢竿支柱와 石佛坐像, 考古美術, 제6권 제1호 통권 54호
1981년-具善會, 韓國上代 伽藍建築의 幢竿支柱 및 掛佛臺에 관한 硏究 /영남대 대학원 (석사학위)☜ 論文Download
1983년-李浩官, 統一新羅時代幢竿支柱와 石橋(考古美術 158·159)
1985년-朴洪國, 慶州地方 幢竿支柱의 硏究(慶州史學 4, 東國大學校慶州캠퍼스國史學會) ☜ 論文Download
-내용은 고고학적인 입장에서 당간지주를 해체 복원한 조사보고서이다.
1991년-鄭永鎬 ,한국의 幢竿과 幢竿支柱 古美術 28('91.3) pp.11-17 한국고미술협회
1996년-嚴基杓, 한국의 당간과 당간지주 연구/ 韓國敎員大 大學院 (석사학위)☜ 論文Download
-논문의 결론은 당간지주의 외형과 장식에 따라 약 5종류로 형식상 분류를하여 작성하였다. .
1996년-嚴基杓, 忠北 地域 幢竿과 幢竿支柱 考察 /博物館誌 5('96.10) pp.37-68 忠淸專門大學博物館
1997년-國立文化財硏究所, 北韓文化財解說集, Ⅰ : 石造物 篇 ☜ 報告書Download
-간략한 설명과 사진 소개
1997년-嚴基杓 ,統一新羅時代의 幢竿과 幢竿支柱 硏究 / 文化史學 제6·7호 (1997. 6) pp.301-358 韓國文化史學會
1999년-嚴基杓 ,高麗時代 幢竿과 幢竿支柱 / 文化史學 제11·12·13호 (1999. 12) pp.535-589 韓國文化史學會
2000년-金泰中, 경주 문화재 순례 6 : 남간사터 당간지주(南澗寺址 幢竿支柱) /慶州文化 6
2000년-엄기표, 全北 地域의 幢竿과 幢竿支柱 /順天大博物館誌 제2호 (2000. 12) pp.41-79 순천대학교박물관
2001년-具滋奉 , 高靈 池山洞 幢竿支柱의 發掘調査 / 佛敎考古學 제1호 (2001. 12) pp.145-153 威德大學校博物館
-내용은 고고학적인 입장에서 당간지주를 해체 복원한 조사보고서이다.
2006년-박홍국, 신라 삼간공 관통형 당간지주에 대한 고찰-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論文Download
2007년-엄기표, 한국의 당간과 당간지주 / 학연문화사(단행본)
-전국에 산재된 당간지주의 도록과 개별적인 외형,형식에 대한 설명이 수록된 책자이다.
'幢竿支柱와 掛佛臺'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국사의 당간지주는 괘불대이다. (0) | 2011.03.10 |
---|---|
論文의 結論 (要約) (0) | 2011.03.10 |
論文의 結論 (原本) (0) | 2011.03.10 |
학계에 보고된 당간지주(幢竿支柱)의 소재지자료 및 본인의 답사조사여부 (0) | 2010.11.22 |
해체 복원된 당간지주의 기록(현재까지 모두 4회) (0) | 2010.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