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덕사지 당간지주 하부구조 정밀조사-국제신문
2014. 12. 30. 18:03ㆍ幢竿支柱와 掛佛臺
만덕사지 당간지주 하부구조 정밀조사
유실된 만덕사지 당간지주의 하부 구조물로 추정되는 유물이 발견됐다. 앞으로 정밀 발굴조사를 통해 하부구조의 전체 원형이 드러나면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당간지주의 설치 공법 파악 등 의미 있는 성과가 기대된다.
부산 북구는 9일 만덕사지 당간지주(부산시 유형문화제 제14호) 하부 구조물에 대한 심층발굴조사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만덕사지 당간지주는 북구 만덕1동 만덕사 절터에 있는 기둥 형태의 구조물로, 고려 전기 사찰 내 당간(불화를 매다는 깃대)을 지탱하기 위해 설치됐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범어사 대웅전의 4배가량으로 알려진 만덕사 불당의 규모를 추정케 하는 경계석으로, 원래 있던 2개의 석주 중 1개는 유실되고 현재 1개만 남아있다.
구는 지난 1월 만덕사지 당간지주 복원 및 주변정비 사업 시행계획을 수립한 뒤 설계용역과 시 문화재위원회 현장자문·현상변경심의를 거쳐 4월 복원 공사를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부산시립박물관 문화재조사팀이 주축이 된 발굴조사단은 최근 당간지주를 세우기 위한 지지대 3개 등 하부구조물의 흔적을 확인했다.조사단 관계자는 "만덕사지 전체 하부구조물의 구조를 밝히면 학술적으로 의미 있는 성과이며 전통공법에 따라 당간지주를 복원할 길이 열린다"고 설명했다.
조사단은 오는 13일 심층발굴조사를 마치고 오는 7월께 발굴로 중단한 복원 공사를 재개한다는 방침이다.
만덕사지 당간지주 하부 구조물 확인
유실된 만덕사지 당간지주의 하부 구조물의 실체가 확인됐다. 또 이를 통해 당간지주의 전체 규모도 확인됐다.
만덕사지 당간지주는 부산 북구 만덕동 만덕사 절터에 있는 구조물로 당간(불화를 매단 깃대)을 지탱하기 위해 좌우 양쪽에 세운 기둥이다. 하지만 본래 있던 2기의 지주 중 1기는 유실되고 현재 1기(서쪽)만 남아 있는 상태다.
부산박물관은 만덕사지 당간지주(북구 만덕동 784)의 복원 및 주변정비사업 목적으로 북구청이 의뢰해 당간지주 하부구조물에 대해 정밀 발굴조사를 최근 실시한 결과, 현재 남아 있는 당간지주 동편에 유실된 1기의 빠진 자리 위치와 규모, 축조구조 등을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부산서 첫 정밀 발굴 조사 실시
땅속 부분 포함 5m 규모 추정
상감청자 편 발견 10세기께 건립
당간지주 하부구조에 대한 정밀 발굴조사는 부산서는 처음이다.
이번에 발굴된 동편 당간지주는 현재 남아 있는 서쪽 당간지주와 폭 50㎝ 정도의 큰 돌(석재) 하나를 사이에 두고 묻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또, 동쪽 당간지주 바깥쪽으로도 큰 돌이 묻혀 있는 것도 확인됐다.
이들 큰 돌은 당간지주가 넘어가지 않게 고정해 주는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두 개 큰 돌 사이의 간격은 현재 남아 있는 서쪽 당간지주의 폭 75㎝와 일치한다.
유실된 동쪽 당간지주는 땅속에 1m 50㎝~1m 80㎝ 정도 깊이로 묻혀 있었을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만덕사지 당간지주의 규모는 밖으로 드러나 있는 3m 50㎝에, 땅속에 묻혀 있던 부분이 더해져 대략 5m 정도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당간지주가 세워진 시기도 간접적으로 유추할 수 있게 됐다.
이곳에서 10세기 정도로 추정되는 햇무리굽 청자편을 비롯해 다수의 고려 초 상감청자편이 나왔기 때문이다. 학계에서는 만덕사 창건을 고려 전기로 추정해 왔다.
부산 북구는 9일 만덕사지 당간지주(부산시 유형문화제 제14호) 하부 구조물에 대한 심층발굴조사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만덕사지 당간지주는 북구 만덕1동 만덕사 절터에 있는 기둥 형태의 구조물로, 고려 전기 사찰 내 당간(불화를 매다는 깃대)을 지탱하기 위해 설치됐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범어사 대웅전의 4배가량으로 알려진 만덕사 불당의 규모를 추정케 하는 경계석으로, 원래 있던 2개의 석주 중 1개는 유실되고 현재 1개만 남아있다.
구는 지난 1월 만덕사지 당간지주 복원 및 주변정비 사업 시행계획을 수립한 뒤 설계용역과 시 문화재위원회 현장자문·현상변경심의를 거쳐 4월 복원 공사를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부산시립박물관 문화재조사팀이 주축이 된 발굴조사단은 최근 당간지주를 세우기 위한 지지대 3개 등 하부구조물의 흔적을 확인했다.조사단 관계자는 "만덕사지 전체 하부구조물의 구조를 밝히면 학술적으로 의미 있는 성과이며 전통공법에 따라 당간지주를 복원할 길이 열린다"고 설명했다.
조사단은 오는 13일 심층발굴조사를 마치고 오는 7월께 발굴로 중단한 복원 공사를 재개한다는 방침이다.
만덕사지 당간지주 하부 구조물 확인
정달식 기자
2014-06-18 [09:58:21] | 수정시간: 2014-06-19
만덕사지 당간지주는 부산 북구 만덕동 만덕사 절터에 있는 구조물로 당간(불화를 매단 깃대)을 지탱하기 위해 좌우 양쪽에 세운 기둥이다. 하지만 본래 있던 2기의 지주 중 1기는 유실되고 현재 1기(서쪽)만 남아 있는 상태다.
부산박물관은 만덕사지 당간지주(북구 만덕동 784)의 복원 및 주변정비사업 목적으로 북구청이 의뢰해 당간지주 하부구조물에 대해 정밀 발굴조사를 최근 실시한 결과, 현재 남아 있는 당간지주 동편에 유실된 1기의 빠진 자리 위치와 규모, 축조구조 등을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부산서 첫 정밀 발굴 조사 실시
땅속 부분 포함 5m 규모 추정
상감청자 편 발견 10세기께 건립
당간지주 하부구조에 대한 정밀 발굴조사는 부산서는 처음이다.
이번에 발굴된 동편 당간지주는 현재 남아 있는 서쪽 당간지주와 폭 50㎝ 정도의 큰 돌(석재) 하나를 사이에 두고 묻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또, 동쪽 당간지주 바깥쪽으로도 큰 돌이 묻혀 있는 것도 확인됐다.
이들 큰 돌은 당간지주가 넘어가지 않게 고정해 주는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두 개 큰 돌 사이의 간격은 현재 남아 있는 서쪽 당간지주의 폭 75㎝와 일치한다.
유실된 동쪽 당간지주는 땅속에 1m 50㎝~1m 80㎝ 정도 깊이로 묻혀 있었을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만덕사지 당간지주의 규모는 밖으로 드러나 있는 3m 50㎝에, 땅속에 묻혀 있던 부분이 더해져 대략 5m 정도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당간지주가 세워진 시기도 간접적으로 유추할 수 있게 됐다.
이곳에서 10세기 정도로 추정되는 햇무리굽 청자편을 비롯해 다수의 고려 초 상감청자편이 나왔기 때문이다. 학계에서는 만덕사 창건을 고려 전기로 추정해 왔다.
'幢竿支柱와 掛佛臺'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자의 논문 파일 : 부록 (0) | 2019.03.21 |
---|---|
필자의 논문 파일: 본문 (0) | 2019.03.21 |
대구 부인사 당간지주 유적 (0) | 2012.10.28 |
당간지주 건립이 차차 사라진 가장 중요한 이유 (0) | 2011.03.10 |
伽藍 空間 解釋의 一例(영주 부석사浮石寺) (0) | 2011.03.10 |